마음의 집 THE HOUSE OF MAUM
Sound Art, Sound Installation
2024 이화여자대학교 작곡과 미디어아트 워크숍 결과전
소실공간 SOSIL SPACE 3rd Exhibition: 홈커밍 Homecoming
2024.08.03 – 08.09
이화전자음악스튜디오 EEAMS
(Ewha Electro-Acoustic Music Studio)
미디어아트 워크숍 | Media Art Workshop 2024.01. - 2024.07.
오프닝 퍼포먼스 | Opening Performance 2024.08.03
전시 | Exhibition 2024.08.04 – 08.09
〈마음의 집〉은 나와 관계를 맺는 사람들이 각각 내 마음 안에 집의 형태로 존재하며, 그 관계 사이의 기억들이 소리로서 존재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세 채의 집을 소개한다. 나의 조부, 부친, 그리고 나 자신, 즉 3대의 관계를 다룬다.
사운드 재료로 활용되는 텍스트는 조부께서 생전에 자필로 남기신 '東源日記(동원일기)'(부친이 태어나고 생후 1년까지 매일을 기록한 일기)와 부친이 나를 위해 남기신 캠코더 영상, 글, 그리고 출생신고서에서 따왔다. 또한 부친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만든 AI 음성을 활용했다. 한글, 한자, 영문이 뒤섞인 '동원일기'를 데이터화하면서 성인이 된 내가 조부가 쓰신 글을 통해 부친의 영아기를 지켜보는 일련의 행위는 한 사람을 다각도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이는 치유로 이어진다.
내게는 한없이 강인한 모습으로 비춰지던 조모가 어린 나이에 아들을 낳은 여린 엄마로 비춰지는 것처럼. 또한 조부의 부친과의 기억을 문자를 통해 상상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그와 비슷한 부친과의 기억을 겹쳐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는 독일의 버트 헬링거가 개발한 새로운 형태의 심리치료법인 가족 세우기(Family Constellations)와 유사하다. 가족 세우기는 우리가 겪는 심리적, 신체적, 대인관계의 갈등의 원인을 가족 무의식 안의 얽힘에서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이 속한 가족 체계 전체를 이해하고 조정하는 데 중점을 두는 치료 기법이다.
참고로, 조부는 내가 태어나기 바로 직전 해에 돌아가셨다. 그는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월남하셨으며,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이라는 대한민국의 큰 역사적 사건들을 겪으셨다. 東源日記(동원일기)는 내가 얼굴도 보지 못하고, 목소리도 들은 적 없는, 마치 미지의 인물인 조부를 만날 수 있는 유일한 길과 같다.
The House of MAUM begins from the idea that the people I am connected to each exist within me as a house, and that the memories shared between those relationships exist as sound. In this exhibition, three houses are presented—those of my grandfather, my father, and myself—representing three generations of familial connection.
The sound materials are drawn from various personal archives: my grandfather’s handwritten Dongwon Diary (東源日記)—a daily journal he kept from my father’s birth through his first year of life—along with my father’s camcorder recordings, written notes, and my own birth certificate. Additionally, the work incorporates an AI-generated voice trained on recordings of my father.
As I digitized the Dongwon Diary, written in a mixture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English, I found myself witnessing my father’s infancy through my grandfather’s words—an act that allowed me to see him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in doing so, brought a sense of healing. Just as my grandmother, whom I had always perceived as endlessly strong, appeared through this process as a tender young mother who bore a child at an early age, I began to recognize mirrored patterns between my grandfather’s memories of his own father and my own relationship with mine.
This process resonates with Family Constellations, a therapeutic approach developed by German psychotherapist Bert Hellinger, which views psychological, physical, and relational conflicts as arising from entanglements within the family unconscious. It seeks to resolve personal issues by understanding and rebalancing the larger familial system to which one belongs.
Notably, my grandfather passed away the year before I was born. He was born in Haeju, Hwanghae Province, and live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The Dongwon Diary thus serves as my only bridge to encounter this unknown ancestor—whose face I have never seen and whose voice I have never heard.